SMALL
DNS 쉽게 이해하기: 예시
- 전화번호부 비유
- 인터넷은 "전화번호부"라고 생각하세요.
- 전화번호부에서는 이름(도메인)을 검색하면 전화번호(IP 주소)를 알려줍니다.
- DNS는
www.google.com
을 검색하면, 컴퓨터가 통신할 수 있는 숫자 주소(예:142.250.72.46
)를 알려줍니다.
- 인터넷은 "전화번호부"라고 생각하세요.
추가 설명:
-
- DOMAIN 이름: 사람들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이름. 예:
www.naver.com
- IP 주소: 컴퓨터와 서버가 통신하는 숫자 주소. 예:
125.209.222.141
- DOMAIN 이름: 사람들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이름. 예:
- 카페 찾기 비유
- 카페 이름을 듣고 그 위치(주소)를 알기 위해 지도 앱을 사용하는 것처럼, DNS는 웹사이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줍니다.
- 예: "스타벅스 강남점"을 검색 → 지도 앱이 주소(
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123
)를 알려줌. - DNS는
www.facebook.com
→157.240.22.35
를 알려줍니다.
- 예: "스타벅스 강남점"을 검색 → 지도 앱이 주소(
추가 설명:
- DNS 서버: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 앱 같은 역할을 하는 컴퓨터.
- 요청 과정: 브라우저가 DNS 서버에 물어보고, 서버가 주소를 알려줌.
- 택배 회사 비유
-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건 택배를 보내는 것과 유사합니다.
- 택배를 보내려면 받는 사람의 이름과 주소가 필요하죠?
- DNS는 "받는 사람 이름"(
www.amazon.com
)을 "정확한 주소"(192.0.2.44
)로 바꿔줍니다.
추가 설명:
- DNS 요청: 택배 회사가 "이 이름이 있는 사람의 주소는?" 하고 물어보는 과정.
- DNS 응답: "이 주소로 보내세요"라고 답하는 것.
DNS 작동 과정 요약 (쉬운 용어로)
- 사용자가 웹사이트 이름(도메인)을 입력합니다.
- 예:
www.youtube.com
- 예:
- 컴퓨터는 DNS 서버에 물어봅니다.
- "이 웹사이트의 IP 주소가 뭐야?"
- DNS 서버가 IP 주소를 알려줍니다.
- "IP 주소는
142.250.190.46
이야."
- "IP 주소는
- 컴퓨터는 받은 IP 주소로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- 결과: 유튜브가 열림.
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팁
- DNS 캐싱(Cache):
- 컴퓨터는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의 DNS 정보를 저장해 빠르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.
- 예: 매번
www.naver.com
을 물어보지 않고, 이전에 사용했던 IP 주소를 저장.
- DNS 오류가 날 때:
- DNS 서버가 고장 나거나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으면, 웹사이트가 "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"라는 메시지가 뜹니다.
728x90
반응형
SMALL
'네트워크 > IP 주소와 서브넷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92.168.1.0부터 서브넷팅 쉽게 하는 법: 예제와 꿀팁 - 코드카인 티스토리 (0) | 2024.12.28 |
---|---|
IP 주소 낭비는 그만! 네트워크 주소 효율화 초간단 가이드 - 코드카인 티스토리 (0) | 2024.12.27 |
IPv4와 IPv6의 차이점, 초보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정리! - 코드카인 티스토리 (0) | 2024.12.27 |
인터넷이 멈췄다면? IP 충돌의 원인과 완벽한 해결법 - 코드카인 티스토리 (0) | 2024.12.26 |
공인 IP와 프라이빗 IP의 차이를 쉽게 이해하는 법! - 코드카인 티스토리 (0) | 2024.1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