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
네트워크/API 및 웹 서비스 5

SEO와 속도를 동시에 잡는 렌더링 전략, SSR과 CSR의 모든 것 - 코드카인 티스토리

안녕하세요😊 코드카인 여러분!오늘은 웹 개발에서 자주 접하는 개념인 서버 사이드 렌더링(Server-Side Rendering, SSR)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lient-Side Rendering, CSR)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해요. 😊 어떤 방식이 더 적합한지 선택하는 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답니다. 이번 글을 통해 두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해볼까요?🖥 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이란?서버 사이드 렌더링은 HTML을 서버에서 생성하여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로 보내는 방식이에요.🛠 작동 방식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요청합니다.서버는 요청을 받아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한 후 완전한 HTML을 생성합니다.브라우저는 서버에서 받은 HTML을 사용자에게 바로 표시합니다.📌 SSR의 장..

서버 개념 정리: 웹서버와 WAS를 헷갈린다면? 깔끔하게 해결! - 코드카인 티스토리

안녕하세요😊 코드카인 여러분!오늘은 웹서버(Web Server)와 WAS(Web Application Server)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. 웹 개발을 시작하거나 서버 관련 용어를 접할 때 두 단어를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. 일상생활에 비유해서 쉽게 설명할게요!🛒 웹서버와 WAS를 마트에 비유한다면?웹서버(Web Server): 마트의 입구와 계산대입니다.고객(사용자)이 원하는 상품(웹 페이지)을 요청하면, 웹서버는 그 요청을 받아 적절한 상품을 전달해줍니다.즉, 정적인 파일(HTML, CSS, 이미지 등)을 주로 처리하며, 빠르고 효율적인 역할을 합니다.WAS(Web Application Server): 마트 안에 있는 요리사입니다.고객이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특별한 요리(동적인 데이터 처리)를 ..

실생활 비유로 배우는 웹 통신의 큰 그림: 서버와 클라이언트 관계 - 코드카인 티스토리

안녕하세요😊 코드카인 여러분!오늘은 웹 통신의 큰 흐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. 웹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, 브라우저, 서버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의 집합이죠. 특히 초보 개발자나 비전공자라면, 이 흐름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코딩 실력을 한 단계 올리는 데 큰 도움을 줄 거예요. 함께 가볍게 시작해 볼까요?🌐 웹 통신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1. 웹 통신이란?웹 통신은 클라이언트(브라우저나 앱)와 서버(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곳)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을 말해요.💡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요청하고, 서버는 요청에 응답합니다.2. 흐름의 기본웹 통신은 보통 아래의 5단계로 이루어집니다.사용자 요청: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거나 버튼을 클릭합니다.DNS 요청:..

[웹 서비스] REST vs SOAP: 차이점, 장단점, 사용 사례와 예제 코드 비교

1. REST와 SOAP의 기본 개념RESTREST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가볍고 단순한 방식이에요.보통 HTTP를 통해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습니다.(HTTP는 우리가 웹사이트를 볼 때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에요!)데이터를 주고받는 형식으로 JSON이나 XML을 주로 사용합니다.📌 쉽게 이해하기REST는 택배 체계와 비슷해요! 📦내가 원하는 물건(데이터)을 주소(URL)로 요청하면 택배 기사(서버)가 물건을 가져다줍니다.JSON이나 XML은 상자(포장 형태)로 이해하면 됩니다.SOAPSOAP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더 복잡하고 엄격한 규칙을 사용해요.보통 XML 형식을 사용하고, 보안과 메시지 형식에 많은 규칙이 있습니다.REST보다 무겁지만, 은행 시스템 같은 고도 보안이 필요한 곳에서 주로 사용합니..

[네트워크] 프로세스 간 통신(IPC): 소켓(Socket) 개념과 Java·Python 예제 코드

프로세스 간 통신(IPC, Inter-Process Communication)이란?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라는 단위로 나뉘어요. 하지만 때로는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협력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. 이를 프로세스 간 통신(IPC)이라고 해요. 😊IPC는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들끼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에요.간단히 말해서, 프로세스들이 서로 대화하거나 파일을 주고받는 방법이에요. 😊📂 IPC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파이프 (Pipe): 데이터를 한쪽에서 보내면 다른 쪽에서 받을 수 있는 터널 같은 것!소켓 (Socket): 네트워크로 연결된 두 프로세스가 통신하는 방식.공유 메모리: 프로세스들이 같은 메모리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.메시..
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