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/JavaScript 기본 문법

"JavaScript 연산자 완전 정복! 쉽게 배우는 필수 개념 🚀 - 코드카인 티스토리"

CodeCaine Explorer 2025. 2. 1. 02:42
SMALL

안녕하세요😊 코드카인 여러분!

오늘은 JavaScript의 연산자와 조건문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!
연산자는 데이터를 조작하고, 조건문은 특정 상황에서 원하는 결과를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.
이 개념을 알면 더 깔끔하고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요! 😊


🎯 JavaScript 연산자란?

연산자는 데이터를 계산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돼요.
마치 요리할 때 재료를 섞고 조리하는 과정과 비슷하죠!
JavaScript에서는 다양한 연산자가 존재하며, 대표적인 몇 가지를 살펴볼게요.

산술 연산자 (Arithmetic Operators)

산술 연산자는 숫자를 계산할 때 사용돼요.

연산자 설명 예제 (a = 10, b = 3) 결과
+ 더하기 a + b 13
- 빼기 a - b 7
* 곱하기 a * b 30
/ 나누기 a / b 3.33
% 나머지 a % b 1
** 거듭제곱 a ** b 1000

📌 Tip!
나머지 연산자 %배수 판별에 많이 사용돼요!

if (number % 2 === 0) {
  console.log("짝수입니다!");
} else {
  console.log("홀수입니다!");
}

✔️ number % 2 === 0이면 짝수, 그렇지 않으면 홀수겠죠? 😊


비교 연산자 (Comparison Operators)

비교 연산자는 두 값을 비교할 때 사용돼요. 시험 점수를 비교하거나, 할인율을 비교할 때 활용할 수 있겠죠?

연산자 설명 예제 (a = 10, b = 3) 결과
== 값이 같은지 비교 a == 10 true
=== 값과 타입이 같은지 비교 a === "10" false
!= 값이 다른지 비교 a != b true
!== 값과 타입이 다른지 비교 a !== "10" true
> 크다 a > b true
< 작다 a < b false
>= 크거나 같다 a >= 10 true
<= 작거나 같다 b <= 3 true

📌 Tip!
=====의 차이를 기억하세요!

console.log(10 == "10");  // true  (타입 변환 허용)
console.log(10 === "10"); // false (타입까지 일치해야 함)

✔️ 타입까지 비교할 땐 ===을 사용하세요! 💡


논리 연산자 (Logical Operators)

논리 연산자는 여러 조건을 조합할 때 사용돼요.
예를 들어 "비가 오고, 우산이 있을 때만 외출한다" 같은 상황을 표현할 때 유용하죠!

연산자 설명 예제 결과
&& AND (그리고) true && false false
` ` OR (또는)
! NOT (부정) !true false

📌 Tip!
논리 연산자는 조건문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돼요!

let isRaining = true;
let hasUmbrella = false;

if (isRaining && hasUmbrella) {
  console.log("외출 가능!");
} else {
  console.log("우산 없으면 나가지 마세요! 😭");
}

✔️ && 연산자를 이용해 두 조건이 모두 참일 때만 실행되도록 만들었어요.

😊 마무리하며..

오늘은 JavaScript 연산자를 배웠어요!
산술, 비교, 논리 연산자

728x90
반응형
SMAL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