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
전체 글 151

Java 스트림(Stream)과 람다(Lambda) 완벽 가이드: 초보자를 위한 쉬운 설명과 활용법

안녕하세요! 😊오늘은 Java의 스트림(Stream)과 람다(Lambda) 표현식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.이 두 가지를 활용하면 코드가 짧아지고, 직관적이면서도 강력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답니다.초보 개발자분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간단한 예제와 용어 설명을 준비했어요. 함께 시작해볼까요? 🚀🌟 스트림(Stream)이란?스트림은 Java 8에서 도입된 기능으로, 데이터 컬렉션(리스트, 배열 등)을 처리하는 방법이에요.데이터를 필터링, 변환, 집계할 때 유용하며, 데이터 흐름을 다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💡 특징데이터 원본을 변경하지 않아요.선언적 스타일을 사용해 가독성이 좋아요.내부 반복을 사용해 병렬 처리에도 강력해요.🌟 람다(Lambda)란?람다는 익명 함수를 나타내는 Java 표현식이에..

Oracle 트랜잭션 관리 쉽게 이해하기: START TRANSACTION, COMMIT, ROLLBACK 활용법

1️⃣ START TRANSACTIONOracle:Oracle에서는 명시적으로 START TRANSACTION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.대신, SQL 문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트랜잭션이 시작됩니다.즉, INSERT, UPDATE, DELETE 같은 DML 문이 실행되면 트랜잭션이 시작됩니다.다른 DB (MySQL):MySQL에서는 명시적으로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해 START TRANSACTION을 사용해야 합니다.START TRANSACTION;INSERT INTO table_name VALUES (...);COMMIT;🧐 주요 차이점Oracle은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시작하며, 별도의 명령어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 MySQL, PostgreSQL 등과 다릅니다.2️⃣ COMMITOracle:Oracle..

SQL 초보자를 위한 WHERE CASE WHEN 사용법: Oracle vs 다른 DB

🌟 Oracle에서 WHERE CASE WHEN 사용법WHERE 절에서 CASE WHEN은 조건에 따라 WHERE 필터링을 동적으로 적용할 때 사용됩니다. 다만, CASE는 SQL의 조건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값을 반환하는 표현식입니다. 즉, WHERE 절에서 특정 조건의 결과를 비교하거나 조건식 안에 CASE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.📋 CASE 구문의 기본 구조CASE WHEN 조건1 THEN 반환값1 WHEN 조건2 THEN 반환값2 ELSE 기본값ENDWHERE 절에서 사용되는 형식SELECT *FROM 테이블명WHERE 컬럼명 = CASE WHEN 조건1 THEN 값1 WHEN 조건2 THEN 값2 ELSE 기본값END;🌟 실전 예제: Oracle..

데이터베이스와 친구 되기! PL/SQL로 자동화의 세계를 열다 - 코드카인 티스토리

PL/SQL: 데이터베이스의 마법 지팡이 🎩✨안녕하세요😊 코드카인 여러분!오늘은 데이터베이스와 친해질 수 있는 강력한 도구, PL/SQL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. 마치 요리를 할 때 여러 재료를 섞어서 한 번에 맛있는 요리를 완성하는 것처럼, PL/SQL은 SQL과 프로그래밍 기능을 결합해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. 그럼 시작해볼까요?PL/SQL이란 무엇인가요? 🍳PL/SQL은 Oracle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절차적 언어(Procedural Language)로, SQL을 확장한 것입니다.쉽게 말해, 단순한 SQL 명령어로 처리하기 어려운 복잡한 작업을 해결하기 위한 도구예요.특징블록 구조PL/SQL은 코드가 BEGIN과 END 사이에 작성되며, 구조가 깔끔하게 정리됩니다...

Oracle ON DELETE CASCADE와 SET NULL: 외래 키 옵션 완벽 가이드

안녕하세요! 😊 오늘은 Oracle에서 외래 키(Foreign Key) 제약 조건을 설정할 때 사용되는 ON UPDATE와 ON DELETE 옵션들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.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해요!💡 외래 키(Foreign Key)란?외래 키는 한 테이블의 컬럼이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(Primary Key)를 참조하도록 하는 제약 조건이에요. 데이터의 무결성(데이터가 일관성 있고 정확함)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💡 ON UPDATE와 ON DELETE란?ON UPDATE: 부모 테이블(참조하는 테이블)의 기본 키 값이 업데이트될 때 발생할 동작을 지정합니다.ON DELETE: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가 삭제될 때 발생할 동작을 지정합니다.Oracle에서 ON UPDATE는 지원하지 않지..

LIST